"음…, 어…" 자주 말 멈추면 치매 확률 높다
"어…그러니까…내가 무슨 말을 하려고 했더라?" 대화 중에 말을 자주 멈추는 습관을 가진 사람일수록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위스콘신 대학교 스터링 존슨 교수 연구팀은 17일 치매 협회 콘퍼런스에서 약한 수준의 인지 장애를 가진 사람일수록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인지장애를 가진 사람은 대화 도중에 '음…'이나 '어…'와 같은 허사(말하기 도중 의미 없이 단어와 단어, 구와 구, 절과 절, 그리고 문장과 문장을 채우는 말)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해당 연구는 같은 주제로 실시된 기존 연구 가운데 가장 큰 규모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부모가 치매를 앓은 경력이 있어 치매 발병률이 높은 50~60대 실험자 256명을 대상으로 그림테스트를 실시했다. 그중 치매 초기 증상을 보이거나 2년 내 치매 발병 위험이 있는 실험자 64명을 추려냈다. 연구팀은 "이들 실험자에게 말하기 테스트 실시했을 때, 허사 사용 빈도가 매우 높고 구체적인 명사를 사용하는 대신 그것(it)이나 그것들(they)과 같은 대명사를 쓰는 경우가 많았다"고 밝혔다. 스터링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치매가 환자의 언어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며 "연구가 보다 깊게 진행되면 매우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치매를 진단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킴벌리 뮬러 교수는 "허사는 노화의 자연스러운 증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허사를 가끔 사용한다고 해서 치매를 걱정할 필요는 없다"면서도 "허사 사용이 대화를 방해하는 수준으로 빈번한 경우에는 인지 장애를 의심해볼만 하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콘퍼런스에서는 '청력 감퇴'가 치매 발병과 연관된다는 연구결과도 발표 됐다. 의학 박사 과정에 있는 테일러 필즈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청력 감퇴 진단을 받은 환자는 5년 내 약한 수준의 인지 장애에 걸릴 확률이 일반인보다 2배 높았다. 알츠하이머 협회 마리아 카릴로 회장은 "청력 감퇴, 언어 장애 등 쉽게 알아챌 수 있는 증상으로 치매 발병을 예측할 수 있다면, 가정 주치의가 치매에 걸릴 위험이 있는 환자를 훨씬 빨리 발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발표된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치매 환자는 약 4700만 명에 달한다. 미국에도 약 550만 명의 치매 환자가 있다. 현재로서는 치매 증상을 완화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은 없으며, 따라서 초기 치매 예방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강력한 스트레스 경험 뇌 노화 앞당길 수도" 살다가 겪게 되는 커다란 스트레스 경험이 뇌의 노화를 수년 앞당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위스콘신대 의료·공중보건대 연구팀은 젊은 시절 당한 단 한 건의 상당한 스트레스라도 나중에 뇌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기억에 남는 스트레스를 겪은 미국인 1320명을 대상으로 사고력과 기억력 분야에서 테스트를 진행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 분석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58세로, 1232명은 백인이었고 82명은 흑인이었다. 연구팀에 따르면 실직이나 자녀의 죽음, 이혼, 알코올·마약 중독 등이 커다란 스트레스로 분류됐다. 연구팀은 이런 상당한 스트레스들이 나중에 경험자의 인지 능력을 떨어뜨린다는 쪽으로 결론을 냈다. 특히 흑인의 경우 일평생 사는 동안 백인보다 60% 더 스트레스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흑인들 사이에서는 각각의 스트레스가 매 4년간의 인지력 노화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알츠하이머협회 마리아 카리요 박사는 "연구팀이 주목한 상당한 스트레스에는 부모의 죽음과 학대, 실직, 빈곤한 이웃들과 지내는 것, 이혼 등이 폭넓게 포함돼 있다"며 "심지어 어린 학생의 경우 전학도 스트레스를 주는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 김지윤 인턴기자 [email protected]